카테고리 없음

문학에서 <상징>의 묘미

김영관 2007. 2. 27. 06:47

 


  작가는 작품 속에 보물찾기 놀이에서 마치 보물을 감추어 놓듯 자신의 작품 속에 여러 장치를 해두고 독자들이 그것을 찾아가며 읽어 주기를 바란다. 그 장치 중에 하나가 상징(symbol)이라고 말 할 수 있겠다. 작품 속에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표현하고자 할 때 이 보다 더 묘미 있는 장치는 없기 때문이다.

  독자들도 이에 대한 예비 지식을 갖고 작가들의 작품에 접근 하다보면 훨씬 더 문학의 즐거움을 갖게 될 것 같다.
  예를 들어, 헤밍웨이의 소설 속에서 "비" 내리는 장면들이 자주 나타나는데, 그의 작품 속에서 "비"는 불길한 사건 직전이나 직후에 내린다. 그래서 그의 작품에서 "비" 내리는 장면과 불길한 사건의 징조를 연관 시켜 읽으면 작품 이해에 훨씬 도움이 클 것으로 보인다.

   로랜스 역시 상징을 즐겨 사용한 대가 중 한 사람인데, 그의 성장 소설 <아들과 연인>에서는 제목부터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남편에게 실망한 여인이 두 아들에게 의존한다. 큰아들이 죽자 이제 그녀는 남은 아들 하나인 폴을 아들이자 연인처럼 소중히 여기다가 아들의 성장을 막아 버리는 가슴 아픈 이야기이다. 그래서 아들이자 연인처럼 여긴다고 해서 소설 제목을 <아들과 연인>이라고 했음을 알고 이 소설을 읽으면 훨씬 더 이 작품 이해에 도움이 클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로랜스는 이 소설에서 여러 상징을 사용하고 있는데 폴의 첫 번째 여인 미리암을 "흰색"과 관련 시켜 묘사하고 있다.

  "흰색"이란 "순수성과 불모"를 상징한다. 정신적인 여성인 미리암을 흰색으로 묘사한 로랜스의 의도는 "흰색"은 깨끗하고 순수하지만 너무 순수하다 보면 생산성이 결여된 불모를 낳을 수 있다는, 그래서 너무 정신적인 여성인 미리암에게 폴은 멀어질 수 밖에 없음을 암시한다. 정신과 육체가 조화되지 못하고 한쪽에 너무 치우쳐도 불행을 낳을 수 있음을 로랜스는 색깔로 말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 외에도 로랜스는 자신의 여러 작품에서 많은 상징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차타레이 부인의 사랑>에서는 "숲"이 상징으로 자주 나타난다. 여기에서 숲은 "도덕적 잘못"을 암시하고 있다.
 

  자연주의 소설의 대표적인 소설로 꼽히는 <테스>라는 작품에도 하디는 "붉은 색"을 즐겨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이 상징하는 의미를 알면 독자들이 이 작품 접근이 훨씬 더 용이해진다.

  테스 집의 유일한 생계 수단인 프린스라는 말이 가슴에 피를 쏟으며 죽어 갈 때 피는 곧 붉은 색이며, 테스가 자기 집안 먼 친척으로 생각하고 찾아 갔던 더버빌 가에 집안 문장이 붉은 색이었다. 그리고 붉은 입술의 알랙, 그가 테스에게 꺾어준 빨간 장미, 테스가 애인절과 헤어진 후 소식이 궁금하여 그의 집에 찾아 갔을 때 고기를 싼 신문지 사이로 배어 나온 피, 그녀가 알랙을 죽였을 때 위층에서 흘러 내려오는 피, 그녀가 형장의 이슬로 살아져 간다는 것 역시 피를 암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테스>라는 작품에다 작가 하디는 온통 붉은 색감을 칠해 버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였다.
  문학의 여러 장치 중에 작가들이 즐겨 사용하는 상징을 알면 작품 이해에 훨씬 도움이 될 것 같아 여기에 소개해 올리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