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표현주의 극에 관하여

김영관 2007. 7. 8. 18:02

  

     스트린드베리의  번역극 <아버지>

 

  사실주의, 자연주의 극이 지나치게 인간의 외적 표현에 의존하는데 대해 많은 작가들이 반기를 들었다. 인간의 조건을 형성을 하는데는 외형 못지 않게 내적인 요소들이 많은 작용을 할 수 있음을 이들은 감지하고 있었다. 특히 이들은 사실주의자들이 인간의 오감에 의해서 느낄 수 있는 것만을 표현한다는데 강한 거부감을 느꼈고, 사실주의자들이 지나치게 과학만능을 신봉하는 태도에 불만을 느꼈다. 인간의 삶에 과학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것이 많다는 것을 느낀 이들은 인간의 내적 갈등 표출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표현주의라고 생각했다.  

  20세기 초(1910-24)에 잠시 유행했으나 시들해지더니 최근에 다시 표현주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인간의 내부에 잠재하고 있는 심리적 현실을 사실주의 극으로 표현하기에는 미흡하다. 등장 인물들의 행동과 이야기만으로 성격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표현주의 극작가들은 인간의 무의식적인 욕망이나 내적 심리를 강력하게 표면으로 끄집어내려고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사실주의 극이 따라갈 수 없을 정도로 인간의 내적 갈등과 심리를 무대에 표현하는데 성공했다.
  그래서 표현주의 극은 무대의 시각적인 요소를 통해서 상황을 과장, 전도하였고, 언어는 붕괴되는 현상을 보인다. 무대 장치와 강렬한 음향 효과, 특히 조명술을 통하여 극적 효과를 증폭 시켰다.  사실주의 극이 객관성을 지향한다면 표현주의 극은 개인의 주관적인 내면 세계 묘사를 해야하기 때문에 매우 주관성을 띤다. 극중 인물들은 시간과 공간을 구애받지 않고 뛰어 넘으며 초자연적이고 백일몽과 같은 무의식적이고 잠재적인 꿈의 영역까지 확대된다. 주인공의 내적 갈등이 주관심사이다 보니 자연히 주변 인물들은 걸인1,2, 경찰1,2, 시인,1,2,3 ,정도로 등장시키는 특징을 보인다.
   예) The Dream Play, Miss Julie , The Father: Strindberg,
       The Hairy Ape, The Emperor Jones : O''Neill
       From Morn till Midnight : Kaiser